본문 바로가기
Certificate/정보처리기사

정보처리기사 실기_02_필기기반 출제 개념

by 꽈리바게트 2021. 6. 29.

HIPO(Hierarchy Input process output)
시스템의 분석 및 설계, 문서화할 때 사용되는 기법으로 시스템 실행 과정인 입력, 처리, 출력의 기능을 나타내는 도구

HIPO 유형 <<가총세>>

  • 가시적 도표: 시스템의 전체적인 기능과 흐름을 보여주는 계층 도구
  • 총체적 도표: 입처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도표, 프로그램 구성하는 기능을 기술
  • 세부적 도표: 총제적 도표에 표시된 기능을 구성하는 기본 요소들을 상세히 기술하는 도표

 

프레임워크
효율적인 정보 시스템 개발을 위해 코드 라이브러리,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설정 정보 등의 집합으로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소프트웨어 구성에 필요한 기본 뼈대를 제공하는 개발

프레임워크 특징

  • 모듈화: 캡슐화를 통해 모듈화를 강화하고, 설계와 구현의 변경에 따르는 영향을 극소화하여 품질을 향상시킨다.
  • 재사용성: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컴포넌트를 정의할 수 있게 재사용성을 높여준다. 개발자의 생산성도 향상
  • 확장성: 다형성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프레임워크의 인터페이스를 넓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애플리케이션의 가변성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재사용성의 이점을 얻게한다.
  • 제어의 역흐름: 코드가 전체 애플리케이션 처리 흐름을 제어하여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할 때 다형성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이 확장한 메소드를 호출함으로써 제어가 프레임워크로부터 애플리케이션으로 반대로 흐르게 한다.

UI 컴포넌트 종류

  • 라디오버튼: 항목 한개만 선택 가능
  • 체크박스: 항목 여러개 선택 가능
  • 콤보박스: 입력창에 글자 입력하면 관련된 내용이 아래쪽에 펼쳐지는 경우
  • 텍스트박스: 글자 입력하는 형태


인스턴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해당 클래스의 구조로 컴퓨터 저장공간에서 할당된 실체이다.